이동평균선에서 봐야 하는 것
방향 / 배열 / 크로스 / 수렴 확산
현재가와의 이격도 / 이동평균선과의 이격 / 기울기
이동평균선의 원리
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
주가 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입니다.
- 5일 이동평균선
↔ 5일 동안의 주가 합계를 5로 나눈
이동평균값들을 선으로 연결한 것입니다.
- 20일 이동평균선
↔ 20일 동안의 주가 합계를 20으로 나눈
이동평균값들을 선으로 연결한 것입니다.
- 60일 이동평균선
↔ 60일 동안의 주가 합계를 60으로 나눈
이동평균값들을 선으로 연결한 것입니다.
※ 이동평균선의 종류는
기간에 따른 구분으로 나눠집니다.
단기 이동평균선 ( 5일 / 10일 )
→ 5일선 ( 심리선 )
한 주간 주식 시장은 5 거래일이 열리므로
5일선은 일주일의 흐름을 의미하며
최근 주가 흐름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합니다.
중기 이동평균선 ( 20일 / 60일 )
→ 20일선 ( 생명선 )
: 한 달은 보통 4주이므로 평균적으로 20 거래일이 열립니다.
20일선은 한 달의 주가 흐름을 의미합니다.
→ 60일선 ( 수급선 )
: 주가가 60일 이동평균선을 하회하면
매도세력이 매수세력보다 강함을 뜻하며
추가적인 하락을 의미합니다.
장기 이동평균선 ( 120일선 / 240일선 )
→ 120일선 (경기선)
주식시장이나 업황, 경기의 흐름을 파악합니다.
장기 이동평균선일수록 높은 신뢰도를 가지나
후행성도 강해집니다.
이동평균선 TIP
☞ 5일 이동평균선
5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주가가 위치하는 것은
주가의 하락이 진행 중이라는 의미입니다.
5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움직인다는 것은
주가가 상승 진행 중이라는 것을 얘기합니다.
☞ 방향성이 곧 추세
일단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5일 평균선이
상승하기 전에는 매수하지 않는 것입니다.
캔들에서 매수 진입의 기본은 양봉이듯이
이동평균선 진입 역시 이평선 위에서
매수 진입이 원칙입니다.
이동평균선에서 알아야 하는 것
✔ 방향
주가의 흐름이 상향 또는 하향을 진행되는지는
모멘텀 트레이딩에 중요한 요소입니다.
주가 방향이 하락으로 전환이 될 때에는
매수 시도를 하지 않습니다.
우상향으로 상승 시에만 매수를 진행합니다.
✔ 배열 ( 정배열 )
이동평균선 배열이 통상적으로 많이 쓰는
5일 → 20일 → 60일 → 120일 → 200일 순으로
단기 이동평균선부터 장기이동평균선
순서로 위에서 아래로 진행이 될 때를 얘기합니다.
이 경우 주가의 흐름은 강세를 유지하고 확산의 흐름을 보입니다.
✔ 배열 ( 역배열 )
이동평균선이 120일 → 60일 → 20일 → 5일 순으로
위에서 아래로 배열된 상태입니다.
위에서부터 장기 중기 단기 이동평균선으로 배열된 상태입니다.
역배열이 나오면 주가는 그 흐름을 돌리기 위해서
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작은 반등의 수익만
나오기 때문에 역배열 상황에서는
매수를 하지 않습니다.
🤞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?
😊 다음에도 뵙길 바라며^^
💘 공감과 구독 눌러주시면~
🎄 찾아가서 인사드리겠습니다!
'주식 Info. > 배워보자, 주식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타트업/비상장주식 투자 : 선학개미 (0) | 2022.04.10 |
---|---|
『투자, 주식 지식 쏟아내기』"추세를 거스르지 마라" (4) | 2021.02.10 |
『투자, 주식 쏟아내기』분봉부터 월봉까지? +이동평균선, 캔들, 거래량 (13) | 2021.01.04 |
『투자, 주식 아는거 쏟아내기』매수와 매도, 양봉과 음봉?? (8) | 2020.12.28 |
『투자, 주식 아는거 쏟아내기』차트 분석,,,왜 하는 거지?? (8) | 2020.12.26 |